노예무역 폐지 운동에 공감한 유명한 도자기 제조업자 조사이어 웨지우드가 1787년에 만든 포스터,
나 역시 인간, 그리고 형제가 아닙니까?”라고 쓰여 있다.

 

1.

미국 독립혁명으로 인한 거대한 식민지 상실로 위기를 맞은 영제국, 영국민들은 이런 위기 상황을 영국을 향한 하나님의 진노라고 보았다. 그들은 죄악을 회개하고 죄로 점철된 현실을 개혁하여 임박한 하나님의 심판을 되돌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런 사람들 중 찰스 미들턴, 제임스 램지 같은 복음주의 정치가들은 영국민을 더 나은 그리스도교인으로 만들 방안을 찾기 위해 테스턴 지역에 모여 장시간의 논의를 벌인 끝에 결론을 내리는데, 영국이 범하고 있는 최악의 죄악은 노예무역이며, 이 노예무역을 폐지하는 것만이 죄악을 뉘우치는 길이라는 것이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 안에 있는 윌리엄 윌버포스 조각상

2.

복음주의 정치가들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흥청망청 살던 요크셔의 젊은 하원의원 윌버포스가 그리스도교로 회심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가 노예무역 폐지에 함께 힘을 써달라고 부탁한다. 몇 개월의 망설임 끝에 이 문제를 의회로 가져갈 것을 결심한 윌버포스는 1789 10 28일 일기장에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내 앞에 두 가지 커다란 사명을 주셨다. 그것은 노예무역을 폐지하는 것과 이 나라의 관습을 개혁하는 것이다.”

클래팜 개혁가들이 출석하던 교구교회

3.

윌버포스는 혼자 감당하기 벅찬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료들과 함께하는데, 영국 정치사에서클래팜파라고 불리는 복음주의 정치가 무리가 바로 이들이다. 이들은 윌버포스를 정점으로 의견을 조율하고 그에 따라 계획을 수립하여 구체적으로 목표를 수행해 갔지만, 당시 노예무역이 가졌던 경제적 중요성과 인식, 정치상황 등을 고려해 보면 노예무역 폐지는 달성하기 매우 어려운 과업이었다.

4.

오늘날 영국이 노예무역에 대한 배상금을 지급한다면 260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될 정도로 당시 노예무역은 영제국의 경제에 상당한 이익이 되는 사업이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노예제가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노예들을 복음화할 수 있기에 그리스도교 전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 국교회는 캐리비안 식민지에 노예농장을 소유하였고, 노예들이 도망가면 쉽게 식별하기 위해 그들의 가슴에 협회를 뜻하는 대문자 ‘S’를 인두로 지져 새겨 놓을 정도였다.

 

노예선에 실린 엄청난 수의 흑인들이 묘사되어 있는 반노예무역 팸플릿

5.

클래팜파는 1789 5월에 처음으로 노예무역 폐지 법안을 제출하였으나, 예상대로 강력한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에 클래팜파는 전략을 수정하여 노예무역의 경제적 비효율성에 초점을 맞추어 노예무역을 중단할 것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노예무역 폐지라는 커다란 장벽을 넘을 수 없었지만, 이런 수많은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고, 대중 여론을 선도하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영국민의 의식을 개도해 나갔다. 그리고 마침내 1807 1월 노예무역 폐지 법안을 286 16이라는 압도적인 표차로 통과시켰다.

6.

17세기부터 그리스도교는 과학혁명, 이신론, 계몽주의 등의 등장으로 사람들의 심성 속에서 영향력을 상실해 갔다. 이에 위기를 느낀 그리스도교는 18세기 말부터 사회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세속화에 대응하기 시작한다. 위에 나온 클래팜파의 노예무역 폐지 운동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외에도 두 차례의 대각성 운동과 노동자의 자녀들에게 공공교육을 제공하였던 주일학교 시스템, 세계 선교를 위한 여성의 역할 인정 등도 그리스도교의 적극적인 대응의 일환이었다

서양 근대교회사혁명의 시대와 그리스도교≫는 이처럼 소위근대라 불리는 18-19세기에 시작된 근본적인 변화에 맞서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살펴본다. 나아가 이를 통해 세속화된 사회 속에 사는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도 제공한다.